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해력은 있는데 말이 없는 아기, 원인 분석

by dasumo 2025. 7. 27.
반응형

아기의 언어 발달은 부모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장 지표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지시는 잘 따르는데 말을 하지 않는다”는 경우, 부모는 더 혼란스러워지기 쉽습니다. 이는 ‘이해력은 있는 것 같은데, 왜 말은 안 할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 이어지죠. 이번 글에서는 이해력은 정상인데 말이 늦은 아기들의 전형적인 특징과 가능한 원인들, 그리고 그에 따른 부모의 대응 방법까지 전문가적 시각에서 깊이 있게 분석해 드립니다.

아기

 

이해력과 표현력, 다른 발달 경로

아기 언어 발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수용 언어(이해력)와 표현 언어(말하기 능력). 일반적으로 아기는 타인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하고, 말로 표현하는 능력은 그보다 늦게 나타납니다.

이해력은 좋은데 표현 언어가 늦는 아기에게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자주 관찰됩니다:

  • 지시를 잘 따름
  • 눈을 맞추고 반응함
  • 손가락이나 손짓 사용
  • 표정, 몸짓으로 의사 표현
  • 그림책에 반응함

이러한 아기들은 인지 발달과 사회적 반응은 정상 범주 내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단순히 표현 언어만 발달이 조금 늦는 ‘표현 언어 지연’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표현 언어가 늦는 주요 원인들

  • 언어 표현에 대한 필요성 부족
  • 영상 시청 과다
  • 소극적인 성격
  • 또래와의 상호작용 부족
  • 청각 문제

이 외에도 감각처리 이상, 자폐 스펙트럼의 초기 징후, 언어 발달 장애 등도 표현 언어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전문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늦은 표현 언어에 대한 부모의 대응법

  • 말할 기회 제공하기
  • 언어 모델링 사용하기
  • 그림책 활용 및 스토리텔링
  • 감정 + 단어 표현 병행
  • 전자기기 사용 최소화
  • 전문가 평가 병행 (필요 시)

이해력은 좋은데 말을 하지 않는 아기, 대부분은 발달의 개별 차이일 수 있지만, 그 속에 감춰진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현 언어는 자극과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모의 꾸준한 관심과 실천이 가장 큰 치료이자 예방책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아기와 더 자주 눈을 마주치고, 더 자주 말을 걸어주세요. ‘기다리는 육아’보다 ‘반응하는 육아’가 우리 아이의 언어를 이끌어냅니다.